“이달 금리 동결” 한목소리…둘 중 한명은 “하반기 인하”
-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5월 26일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.
- 이번 결정은 한은이 2022년 1월부터 5차례 연속 금리를 인상한 후 처음입니다.
- 금리 동결 결정은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)의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되고,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
공사비 갈등에… 아파트 시공 계약 줄줄이 해지
- 최근 공사비 인상 요구와 분양가 상한제 등 규제에 반발해 아파트 시공 계약이 줄줄이 해지되고 있습니다.
- 공사비 갈등으로 계약이 해지된 아파트는 전국적으로 100여 단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
- 공사비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,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어 집값이 상승할 우려가 있습니다.
금리인상 악몽 끝나나…기지개 켜는 주택경기
-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, 주택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
-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, 4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1만 2,310건으로 전달보다 24.9% 증가했습니다.
- 아파트 매매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KB부동산 시세에 따르면, 4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전달보다 0.34% 상승했습니다.
울산·전북·충남·대구 평균 분양률 50% 미만...양극화 심화
- 지방의 아파트 분양시장이 위축되고 있습니다.
-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, 4월 지방 아파트 분양률은 평균 49.8%로 집계됐습니다.
- 분양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(39.2%), 전북(40.9%), 충남(41.6%), 대구(42.4%)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
- 지방의 아파트 분양시장이 위축된 이유는 경기 부진과 금리 인상 등이 있습니다.
4월 서울 아파트 매매 20개월만에 최다
- 4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 20개월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.
-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, 4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1만 2,310건으로 전달보다 24.9% 증가했습니다.
- 이는 2020년 12월(1만 2,390건) 이후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.
- 서울 아파트 매매가 증가한 이유는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되고, 경기 회복 기대감 등이 있습니다.
용산 철도정비창, 상암 DMC 등에 초고층 빌딩 들어서나
- 서울시는 용산 철도정비창과 상암 DMC 등에 초고층 빌딩을 허용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
- 서울시는 용산 철도정비창에 50층 이상 초고층 빌딩 2개동, 상암 DMC에는 60층 이상 초고층 빌딩 1개동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
- 서울시는 초고층 빌딩을 짓면, 서울의 랜드마크가 생기고,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‘전세 폐지’ 수면 위로 뜨자…“내집 마련 어려워진다” 반대 의견
- 최근 ‘전세 폐지’ 논쟁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
- 전세 폐지론자들은 전세 제도가 집값 상승의 주범이라고 주장합니다.
- 반면, 전세 폐지 반대론자들은 전세 폐지가 내집 마련을 더 어렵게 만들고, 임대차 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합니다.
2기 신도시 집값 바닥 다졌나…동탄·검단 청약 줄줄이 '완판'
- 2기 신도시의 집값이 바닥을 다지고 있습니다.
- 3월 말부터 분양을 시작한 2기 신도시의 아파트 청약 결과는 모두 '완판'을 기록했습니다.
- 2기 신도시의 집값이 상승한 이유는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되고, 경기 회복 기대감 등이 있습니다.
'한강 르네상스 2.0'은 관광객 3천만명 시대 위한 몸부림
- 서울시는 한강변에 '한강 르네상스 2.0'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
- 한강 르네상스 2.0 프로젝트는 한강변에 첨단산업, 문화, 관광, 주거 등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사업입니다.
- 서울시는 한강 르네상스 2.0 프로젝트를 통해 2030년까지 한강변에 3천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“여보 1억 올려 집 내놓자” 반등 분위기에 매도 나선 서울 집주인
-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상승하면서 집주인들이 집을 내놓고 있습니다.
-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, 5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1만 3,268건으로 전월보다 16.3% 증가했습니다.
- 집주인들이 집을 내놓는 이유는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되고, 경기 회복 기대감 등이 있습니다.
댓글